한국 추석, 한가위 차이뜻,의미영어 표기
명절 증후군 이라는 말이 생긴지 오래다. 연마다 명절이면 연례 행사처럼 친척들과의 만남, 성묘, 차례 준비에 모두들 증후군이 생겨날 정도로 힘들다. 물가도 치솟아 차례상 준비에 많은 제수 비용이 들어갑니다. 명절이 임박해서 준비하면 뭐든지 비싸기 마련. 미리 준비 할 수 있는 것들은 미리 준비를 해놓으면 좋습니다. 인간은 망각의 동물입니다. 연마다 준비를 하지만 또 연마다 찾아봐야 하는 추석 차례상 진설 제사나 잔치때, 음식을 법식에 따라 상 위에 차려 놓음. 과 차례 지내는 법에 대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절하는 순서에 맞춰 절을 할 때 주의할 점이 바로 양손의 위치입니다. 절할 때의 손 모양을 공수라 하는데, 상황 마다. 위로 가야하는 손이 다릅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여 기억해놓으면 좋습니다.
설 차례상 차림그림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지방과 가문에 따라 방법이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5열로 차린다. 차례상은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으로 봅니다. 제주제사의 주장이 되는 상제가 있는 쪽이 남쪽이고, 제주가 바라볼 때 우측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 됩니다. 병풍에서 가까운 쪽을 1열로, 멀어질수록 차례대로 2열, 3열 등으로 구분됩니다. 1열은 반서갱동 시접거중으로 술잔, 밥, 시접, 국, 떡국을 놓는다. 시접수저 그릇과 술잔을 놓고 밥을 올립니다.
설에는 떡국을, 추석에는 송편을 올립니다. 상을 차리는 사람이 봤을 때 시접은 가운데에 두고, 밥과 술잔은 왼쪽(서쪽), 오른쪽(동쪽)에는 떡국을 놓는다. 이럴때 국수와 편은 집안 전통과 상황에 따라 생략할 있습니다. 2열은 어동육서 동두서미로 육전, 육적, 소적, 어적, 어전을 놓는다.
추억음식 종류
송편Songpyeon 한정식Hanjungsik 추석에는 특수한 한정식을 준비합니다. 이 식사에는 여러 반찬과 메인 요리, 떡, 과일 등이 포함됩니다. 갈비찜Galbijjim 밤Bam 추석에는 밤을 먹는 것이 전통입니다. 밤은 풍요와 번영을 상징하며, 건강과 재물이 늘어나길 기원합니다. 송편 제작하기 찹쌀가루에 물을 조금씩 섞어 반죽을 만들고, 반죽을 둥근 모과 달모양으로 만든 후 여러 속재료참깨, 깨, 된장, 무, 고구마 등를 넣은 후 끓는 물에 삶아냅니다.
마지막에 참기름을 묻혀 완성합니다 갈비찜 제작하기 소갈비를 미리 양념하여 볶은 후 무와 당근, 감자 등과 함께 찐다. 갈비가 부드럽게 익을 때까지 조리합니다.
설날 추석 차례 축문
문화 축문이 한문이라 현시대에는 축문의 의미를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차라리 한글로 풀이해 축문을 하시기 바랍니다.
※ 외워서 고하지 않는 한 글로 쓰고 고해야 합니다. 한자 축문은 중국 주자의 주자가례, 예를 들어 학생부군은 벼슬을 하지 않았던 분들을 학생부군이라 칭하는데 할머니, 할아버지, 아버지, 어머님 등에 막 쓰이고 있습니다. 중국 것을 우리들이 쓰다. 보니 엉터리 축문이 많고 현대 시대에는 차례에는 축문을 쓰지 않고 기제사 때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추석 차례상 음식 종류
밥반제삿밥으로 신위의 수대로 주발 식기에 수북이 담고 뚜껑을 덮는다. 예전에는 밥 외에도 국수를 올렸으나 오늘날에는 생략해도 무방하겠습니다. 국갱제사 국입니다. 신위의 수대로 대접 혹은 주발을 담고 뚜껑을 덮는다. 재료는 쇠고기와 무를 네모로 납작하게 썰어서 함께 끓인다. 고춧가루, 마늘, 파 등을 쓰지 않습니다. 떡편제사에 쓰는 떡은 현란한 색깔을 피하므로 팥고물을 쓸 때는 껍질을 벗겨 내어 가급적이면 흰 빛깔이 되게 합니다.
약간은 백설기나 시루떡을 해서 사각의 접시에 보기쫗게 놓고, 신위의 수에 독립적으로 한 그릇만 올리기도 합니다. 찌게탕탕은 오늘날의 찌개라고 할 있습니다. 쇠고기, 생선, 닭고기 중 한가지만을 택하여 조리합니다. 양념에 파, 마늘, 고추등을 쓰지 않습니다. 예전에는 탕의 수를 1,3,5의 홀수로 하였고 탕의 재료로서 고기,생선,닭 등을 사용하였습니다.
지방쓰는법
지방이란 제사나 차례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합니다. 사당에 쓰이는 신주가 없을 때 임시로 제작하는 위패를 뜻합니다. 즉 고인의 이름과 사망날짜를 적은 위패인 신주를 모시고 있지 않은 집안에서 차례나 제사에 조상을 모시기 위해 임시로 이를 종이에 기록한 것입니다. 명절 차례상에 올리는 지방은 폭 6cm, 길이 22cm가량의 한지백지에 한자로 쓰면 됩니다. 제사를 지낼 때 부모 중 한쪽이 생존해 있을 경우 전적으로 지내는 만큼 지방에도 한분만 씁니다.
그러나 두분 다. 돌아가시면 같이 제사를 지내므로 지방에 부모를 같이 씁니다. 이럴때 오른쪽에 어머니의 신위를 쓰고 왼쪽에 아버지의 신위를 씁니다. 지방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자를 쓰고 제주(제사를 모시는 사람)와 관계, 고인의 직위, 부군(府君) 혹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 신위(神位) 순으로 쓰면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설 차례상 차림그림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지방과 가문에 따라 방법이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5열로 차린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추억음식 종류
송편Songpyeon 한정식Hanjungsik 추석에는 특수한 한정식을 준비합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설날 추석 차례 축문
문화 축문이 한문이라 현시대에는 축문의 의미를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차라리 한글로 풀이해 축문을 하시기 바랍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