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 수당 재취업활동 증빙은 어떻게 하나요 구직급여를 못 받을 수 있나요
실업급여 중 구직자는 재취업활동구직활동 및 구직 외 활동을 하여 실업인정일 날 재취업 활동내역을 온라인 및 센터방문을 통해 신고하고 실업급여구직급여를 신청합니다. 그런데요 실업인정일날 재취업활동 내역을 제출하였는데 구직급여를 못 받을 경우가 있었으나 이런 경우를 허위, 형식적구직 활동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허위, 형식적 구직활동에 어떤 내용인 것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첫번째 구직급여는 실업인정기간 28일 동안 재취업활동을 수행하는 수급자에게 지급하는 급여로 재취업활동을 하지 않고 실업인정일 담당자에게 실업인정을 해달라고 하는 것은 고용보험법 위반에 속합니다.
재취업활동이 없는 것은 적극적인 재취업 의사가 없는 것으로판단하여 해당 회차의 구직급여를 지급하지 않습니다.
구직급여 금액
그리고 구직급여는 상한액과 하한액이 있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2023년에 최저임금이 올랐으므로 9,620원 2023 하한액 9,620원 x 80 x 8시간 61,568 원이 되겠네요. 2023년 1월 이후는 하한액 61,568원 2019년 1월 이후는 1일 하한액 60,120원 2018년 1월 이후는 54,216원 2017년 4월 이후는 하한액 46,584원 2017년 1월3월은 상하한액 동일 46,584원 2016년은 상하한액 동일 43,416원 19년도 기준은 8,350원 x 90 x 8시간 60,120원으로 계산되었네요. 나이에 따른 소정급여일수는 아래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구직급여의 수급조건
최소한 피보험단위기간 180일은 실 근로일이 180일이 넘어야 하므로 현실 근무기간은 78개월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재취업활동은 구직활동을 해야 하는데, 오프라인 활동 방문면접으로, 면접관의 명함이나 면접 확인서 등을 제출해야합니다. 온라인 활동 취업사이트에서 구직신청을하고 채용공고 및 구직신청내역을 캡쳐해서 올리시면 됩니다. 접수시간이 보여야하므로 시계 창을 띄워놓고 같이 캡쳐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 외에 활동을 인정해주는 경우는 직무훈련, 직무연관 사설교육, 고용센터에서 진행하는 교육, 사회봉사활동, 직업적성검사 등이 있습니다.
신청 절차방법
1,4회차는 직접방문해야 하는군요. 하지만.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신청이 가능하네요. 1. 실업인정신청 신청방법 매뉴얼 2. 워크넷 구직등록 3. 수급자격 지원자 온라인 교육 4. 수급자격 신청서 제출 수급자격 신청방법은 어려운게 아니지만 내용중에 실업크레딧이라는 내용이 있는데, 구직급여를 받는 동안 실업크레딧을 신청하면 그 동안 납부하는 국민연금 보험료의 75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보험료의 25를 스스로가 부담하는 경우에 한해 국가에서 75의 보험료 지원하며, 1인당 구직급여 수급기간 중 생애 최대 12개월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실업기간에도 국민연금을 계속 납부할 수 있다는게 장점이지만, 국민연금 고갈.읍읍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실업급여 글을 해봤는데, 방법은 간단한 것 같으나 필요조건 등이 엄청 많네요. 그리고 실업급여제도는 아마 개편될 듯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구직급여 금액
그리고 구직급여는 상한액과 하한액이 있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구직급여의 수급조건
최소한 피보험단위기간 180일은 실 근로일이 180일이 넘어야 하므로 현실 근무기간은 78개월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신청 절차방법
14회차는 직접방문해야 하는군요.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