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무관 급수 몇급, 공무원 직급체계
개요 구성 8203 호칭 8203. 6급 9급 . 서기보9급. 서기8급. 주사보7급. 6급8203. 3급 5급 . 사무관5급. 서기관4급. 부이사관3급, 비 고공단8203. . 부이사관3급, 고공단 나급. 이사관2급, 고공단 나급. 관리관1급, 고공단 가급 8203. 차관보. . 차관. 장관. 부총리. . 4. 특정직과 일반직의 비교 공무원 중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반직 공무원은 직업공무원제의 특성상 직급이 정해져 있으며 상위직급은 대개 하위직급에 있는 자를 승진 임용하고 있습니다.
한편 특정직 공무원은 일반직에서 통용되는 직급 및 계급 구분을 준용하지 않고 다른 직위 체계 및 보수 체계를 적용받는다. 현행 법률이 정하고 있는 특정직 공무원으로는 , , , , 군무원은 예외적으로 일반직 공무원의 직위체계를 준용한다, 관, , , 직원, 직원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 선거로 뽑히는 공무원이나 정무적 판단을 요하는 차관급 이상 보직이 이에 해당합니다. 차관
2014년 11월 개정된 정부조직법 기준으로 장관이 경제부총리를, 장관이 사회부총리를 겸하며, 2008년부터 2013년까지는 폐지된 적도 있었어요. 물론 현실 법률상으로는 그냥 부총리이고 OO부 장관은 부총리를 겸한다라는 식으로 정해놓고 있습니다. 법률조문에는 경제부총리 등으로 XX부총리라는 조문은 등장하지 않지만 언론에서 축약하여 표현하거나 과거 부총리가 몇 명씩 있을 때 구별하려고 사용하던 것입니다.
과거 통일부총리, 경제부총리, 교육부총리 및 과학기술부총리과기부총리 등이 존재하였습니다. 2014년 새로 생긴 사회부총리는 교육부 장관을 겸임하는 만큼 이전에 교육부총리라 불렸던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보직과 엇닮은 면도 보입니다.
부이사관3급, 고공단 나급
3급 중 고위공무원단 심사를 통과한 인원은 고위공무원 나급입니다. 1년에 한번씩 심사를 통과해야만 이 직급이 유지됩니다. 5급 국가직 공채 출신의 경우 2022년차가 보통으로, 중앙부처의 국장중앙부처의 과장 직책을 맡는 3급은 고공단 소속이 아닙니다. 중앙부처 국장부터 고공단 나급이나 의 직책을 받는다. 23년차 즈음에 2급으로 승진합니다. 하는 일 없이 돈만 받아가는 직급으로 보이기 쉬우나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그만큼 도 많고 일 속도가 따라주지 않아보이지만 정말로 보시면 정말 일 많이 합니다. 중앙부처 45급들이 살인적인 노동강도여서 하는 일이 적어보이는 것이지, 생각해보시면 어지간한 대기업 들보다. 더 긴 시간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 다만 그동안의 일을 해온 업무능력이 있기때문에 카리스마로 하급 공무원을 지시하여 움직이게 합니다. 사실 이쯤 되면 실무를 처리한다기보다는 실무를 추진하기 위해 윗사람들에게 기름칠해주는 역할이 더 중요해진다.
일반직 공무원의 계급은 크게 3단계로 나뉜다. 5급 이상67급89급. 이에 따라 신규 임용은 9급, 7급, 으로 채용방법이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일반직이 아닌 경우에 대해서는 하단 계약직 문단 참조. 호칭
6급 9급에서는 조직마다. 다릅니다. 2010년대 이후에는 안전행정부 공식 호칭으로 OOO 주무관이라는 호칭을 사용하게 했으나, 현장에서는 서울시의 경우 OOO 주임님, 그 외의 지역은 주사님 이라고 많이 부른다.
서울시교육청 일반직 공무원들에게는 주무관이라는 대외 직급호칭이 정착되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97급 일반직을 실무관, 6급 일반직을 주무관이라고 구분하여 부르기도 합니다. 이전에 9급의 직급명은 서기보, 8급의 직급명은 서기, 7급의 직급명은 주사보, 6급의 직급명은 주사였다. 아울러 현재 고위공무원단 가,나급으로 구분하는 13급의 직급명은 3급 부이사관, 2급 이사관, 1급 관리관입니다.
대한민국 공무원 직급 체계
대한민국 국가 공무원의 급수 및 직급체계는 국가원수로 시작해서 아래로 총리급, 부총리급, 장관급, 차관급 순으로 내려가며, 그다음 직급 체계는 1급에서 9급까지 공무원 직급표가 있습니다. 당연하겠지만 국가 공무원 직급에 따라서 업무의 중요도가 다르며 각 직급에서 승진해야 높은 직급으로 갈 수가 있으며 직급마다. 승진을 하기 위한 기간은 틀립니다. 9급의 경우 8급으로 승진하기 위해서는 최소 1년 6개월이 소요되며, 주무관급 수 6급에 해당하니 9급에서 시작해서 5년 이상 근무를 하고 있어야 주무관 급수로 진급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주무관의 뜻과 급수 우리나라 공무원 직급체계에 관련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공무원 준비를 하시는 공시생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